질롱 코리아/2022-23시즌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질롱 코리아 시즌별 기록
2019-20 시즌[1]2022-23 시즌(2023-24 시즌 불참)

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성적
(1월 19일 기준)
순위승차승률
4 / 4[2]132415.50.351

1. 개요
2. 선수단
2.1. 코치진
2.2. 투수
2.3. 포수
2.4. 내야수
2.5. 외야수
2.6. 투타겸업
4. 전적
4.1. 구단별 전적
4.2. 월별 전적
5. 선수별 성적
5.1. 타자 기록
5.2. 투수 기록


1. 개요[편집]


호주 프로야구 리그의 한국 팀인 질롱 코리아의 2022-23시즌을 정리한 문서.

2022년 11월 5일에 본격적으로 호주로 출국하며, 한국시리즈에 진출한 SSG 랜더스 소속의 조형우, 하재훈키움 히어로즈 소속의 김시앙, 신준우, 박찬혁은 한국시리즈가 끝나는 11월 13일에 출국하여 애들레이드와의 시리즈부터 출전한다. 또한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중도에 합류하거나 귀국하는 선수들이 나올 수 있다. 이번에는 대학 선수들도 많이 참가하는 것이 특징.

한화 이글스에서 선수들을 대규모 파견했다. 전반기 8명[3], 후반기 7명[4]으로 질롱 코리아 측과 시즌 중 멤버 교체를 통해 더 많은 선수들이 호주에서 경험을 쌓을 수 있게 미리 계획했다. ##

2. 선수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bb2848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1164d><colcolor=#FFF><width=20%> '''투수''' || '''4 [[이승관|{{{#000000,#FFFFFF 이승관}}}]]^^#^^ · 7 [[김진욱(2002)|{{{#000000,#FFFFFF 김진욱}}}]] · 11 [[정윤환|{{{#000000,#FFFFFF 정윤환}}}]]^^#^^ · 15 [[김태현(야구선수)|{{{#000000,#FFFFFF 김태현}}}]] [br] 17 [[이수민(야구선수)|{{{#000000,#FFFFFF 이수민}}}]]^^#^^ · 18 [[오윤성(야구선수)|{{{#000000,#FFFFFF 오윤성}}}]] · 19 [[김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김재영}}}]]^^#^^ · 20 {{{#000000,#FFFFFF 이가미}}} [br] 21 [[박윤철|{{{#000000,#FFFFFF 박윤철}}}]] · 24 [[이태규(야구선수)|{{{#000000,#FFFFFF 이태규}}}]] · 29 [[유지성|{{{#000000,#FFFFFF 유지성}}}]] · 31 {{{#000000,#FFFFFF 최정욱}}} [br] 39 [[최지민|{{{#000000,#FFFFFF 최지민}}}]] · 40 [[한선태|{{{#000000,#FFFFFF 한선태}}}]]^^#^^ · 41 [[이근혁|{{{#000000,#FFFFFF 이근혁}}}]] · 43 [[서준원|{{{#000000,#FFFFFF 서준원}}}]] [br] 44 [[양경모(야구선수)|{{{#000000,#FFFFFF 양경모}}}]] · 45 {{{#000000,#FFFFFF 백동운}}} · 54 [[오세훈(야구선수)|{{{#000000,#FFFFFF 오세훈}}}]] · 55 {{{#000000,#FFFFFF 김효준}}} [br] 62 [[하준수(야구선수)|{{{#000000,#FFFFFF 하준수}}}]]^^#^^ · 67 [[정이황|{{{#000000,#FFFFFF 정이황}}}]]^^#^^ · 99 [[김승현(1992)|{{{#000000,#FFFFFF 김승현}}}]]^^#^^ · # [[구대성|{{{#000000,#FFFFFF 구대성}}}]]''' || || '''포수''' || '''10 [[허관회|{{{#000000,#FFFFFF 허관회}}}]] · 22 [[김기연(야구선수)|{{{#000000,#FFFFFF 김기연}}}]] · 25 {{{#000000,#FFFFFF 곽지민}}} · 26 [[김시앙|{{{#000000,#FFFFFF 김시앙}}}]]^^#^^ [br] 32 [[조형우|{{{#000000,#FFFFFF 조형우}}}]] · 42 [[박상언|{{{#000000,#FFFFFF 박상언}}}]]^^#^^''' || || '''내야수''' || '''1 [[송찬의|{{{#000000,#FFFFFF 송찬의}}}]] · 2 [[신준우|{{{#000000,#FFFFFF 신준우}}}]] · 3 [[김민석(타자)|{{{#000000,#FFFFFF 김민석}}}]] [br] 5 [[김주성(야구선수)|{{{#000000,#FFFFFF 김주성}}}]] · 14 [[김규성|{{{#000000,#FFFFFF 김규성}}}]] · 23 [[서호철|{{{#000000,#FFFFFF 서호철}}}]] [br] 36 [[김서진(야구선수)|{{{#000000,#FFFFFF 김서진}}}]] · 52 [[김태연(야구)|{{{#000000,#FFFFFF 김태연}}}]] · 56 [[박정현(2001)|{{{#000000,#FFFFFF 박정현}}}]]^^#^^''' || || '''외야수''' || '''13 [[하재훈|{{{#000000,#FFFFFF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27 [[박찬혁|{{{#000000,#FFFFFF 박찬혁}}}]] · 28 [[이진영(1997)|{{{#000000,#FFFFFF 이진영}}}]] [br] 35 [[김석환|{{{#000000,#FFFFFF 김석환}}}]]^^#^^ · 38 [[유상빈|{{{#000000,#FFFFFF 유상빈}}}]]^^#^^ · 47 [[오장한|{{{#000000,#FFFFFF 오장한}}}]] · 50 [[이원석(1999)|{{{#000000,#FFFFFF 이원석}}}]]^^#^^ [br] 51 [[장진혁|{{{#000000,#FFFFFF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white '''C'''}}}
]] · 57 [[박주홍|{{{#000000,#FFFFFF 박주홍}}}]] · 97 [[권광민|{{{#000000,#FFFFFF 권광민}}}]]''' || || '''투타겸업''' || '''16 [[장재영(야구선수)|{{{#000000,#FFFFFF 장재영}}}]]^^#^^''' || ||<-2> '''
[[코치(스포츠)#s-2.1|{{{#FFFFFF {{{-2 감독}}}}}}]]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 '''[[이병규(1974)|{{{#FFF {{{-2 이병규}}}}}}]] ·
[[코치(스포츠)|{{{#FFFFFF {{{-2 투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손정욱|{{{#FFF {{{-2 손정욱}}}}}}]][br]
[[코치(스포츠)|{{{#FFFFFF {{{-2 야수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진호(야구)|{{{#FFF {{{-2 윤진호}}}}}}]] ·
[[코치(스포츠)|{{{#FFFFFF {{{-2 배터리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7]]]] [[윤수강|{{{#FFF {{{-2 윤수강}}}}}}]]''' || ||<-2> {{{-2 ^^#^^ 중도 귀국 선수}}} ||





2.1. 코치진[편집]


등번호이름직책부임년도선수 활약
데뷔은퇴포지션
9이병규감독20221997(LG)2016(LG)외야수
76윤진호야수코치2009(LG)2019(LG)내야수
90손정욱투수코치2013(NC)2022(NC)투수
92윤수강배터리코치2012(롯데)2021(NC)포수

2.2. 투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4이승관2018좌투좌타한화 이글스
7[5]김진욱2021좌투좌타롯데 자이언츠
11정윤환2017우투우타성남 맥파이스[6]
15김태현2017좌투좌타NC 다이노스
17이수민2014좌투좌타무소속[7]
18오윤성2017우투우타키움 히어로즈
19김재영2016우투우타한화 이글스
20[8]이가미
치카라
우투우타트윈스
오스터하우트
21박윤철2019우투우타한화 이글스
24[9]이태규2019우투좌타KIA 타이거즈
29[10]유지성2020좌투좌타KIA 타이거즈
31최정욱우투우타동원대
39최지민2022좌투좌타KIA 타이거즈
40한선태2019우투우타무소속[11]
41이근혁우투우타한일장신대
43[12]서준원2019우투우타롯데 자이언츠
44양경모2022우투우타한화 이글스
45백동운우투우타경희대
54오세훈2021좌투좌타한화 이글스
55김효준우투우타사이버외대
62하준수2019우투우타NC 다이노스
67정이황2019우투우타한화 이글스
99김승현2016우투우타KIA 타이거즈[13]
-[14]구대성1993좌투좌타-


2.3. 포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10허관회2019우투우타한화 이글스
22김기연2016우투우타LG 트윈스
25곽지민우투우타신성대[17]
26김시앙2021우투우타키움 히어로즈
32조형우2021우투우타SSG 랜더스
42박상언2016우투우타한화 이글스


2.4. 내야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1송찬의2018우투우타LG 트윈스
2신준우2020우투우타키움 히어로즈
3[19]김민석2023우투좌타롯데 자이언츠
5김주성2016우투우타LG 트윈스
14김규성2016우투좌타KIA 타이거즈
23서호철2019우투우타NC 다이노스
36김서진2022우투우타롯데 자이언츠
52김태연2016우투우타한화 이글스
56박정현2020우투우타한화 이글스


2.5. 외야수[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13하재훈2009우투우타SSG 랜더스
27[20]박찬혁2022우투우타키움 히어로즈
28이진영2016우투우타한화 이글스
35김석환2017좌투좌타KIA 타이거즈
38유상빈2022좌투좌타한화 이글스
47오장한2021우투좌타NC 다이노스
50이원석2018우투우타한화 이글스
51장진혁2016우투좌타한화 이글스
57박주홍2020좌투좌타키움 히어로즈
97권광민2016좌투좌타한화 이글스


2.6. 투타겸업[편집]


등번호이름데뷔년도투타원 소속팀
16장재영2021우투우타키움 히어로즈

3. 경기 일정 및 결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질롱 코리아/2022-23시즌/경기 일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전적[편집]



4.1. 구단별 전적[편집]


질롱 코리아 구단별 전적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상대팀승률비고
애들레이드 자이언츠26.250
멜버른 에이시스44.500
퍼스 히트26.250
노스이스트 디비전
상대팀승률비고
캔버라 캐벌리13.250전 경기 원정
브리즈번 밴디츠04.000전 경기 원정
시드니 블루삭스31.750전 경기 홈
오클랜드 투아타라13.333전 경기 홈

붉은색은 최고 승률, 파란색은 최저 승률을 나타낸다.

4.2. 월별 전적[편집]


질롱 코리아 월별 전적
년월승률비고
22년 11월47.364
22년 12월69.400
23년 1월38.272

빨간색은 최고 승률, 파란색은 최저 승률을 나타낸다.

5. 선수별 성적[편집]



5.1. 타자 기록[편집]


타자 기록
선수명경기타수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볼넷삼진AVGOBPSLGOPS
송찬의LG281023370724186916.324.381.598.979
하재훈SSG217222201118184716.306.354.7921.146
권광민한화134614301873318.304.340.435.775
김석환KIA1034101041051512.294.429.6761.105
김시앙키움514410011013.286.375.357.732
김규성KIA27962750313147633.281.337.427.764
유상빈한화154312301440212.279.326.419.745
박상언한화718500014011.278.333.278.611
김주성LG2594251102131331116.266.333.447.780
장진혁한화15531442056387.264.371.415.786
김서진롯데194912100440316.245.288.265.554
조형우SSG16421000169067.238.333.310.643
김민석롯데2068163011113517.235.288.324.611
박주홍키움278319513131011336.229.333.422.755
김태연한화134410301581511.227.306.364.670
서호철NC2580182026104816.225.303.325.628
신준우키움175712202891313.211.262.361.613
이진영한화10347001250112.206.229.294.523
오장한NC215912001773722.203.294.254.548
허관회한화25100000002.200.200.200.400
박찬혁키움216913403890320.188.253.377.630
박정현한화1548900033459.188.259.188.447
이원석한화165510002584316.182.224.391.515
김기연LG20558201540511.145.242.236.478
장재영키움76000001033.000.333.000.333
곽지민신성대43000000000.000.000.000.000

5.2. 투수 기록[편집]


투수 기록
선수명경기이닝ERA피안타피홈런볼넷탈삼진실점자책WHIP
구대성무소속32⅓00000.001022201.29
최지민KIA1718⅓00231.47180819931.42
김태현NC1816⅓11232.20120523641.04
장재영키움63012003.3022493713111.03
오윤성키움1923⅔21133.8018492114101.14
백동운경희대49⅓00003.866259641.18
김재영한화634⅓13004.7240673520181.37
정이황한화633⅓13004.86294132819181.26
서준원롯데1034⅔14115.4543793029211.50
김승현KIA66⅓00005.688333541.74
오세훈한화81122005.7371106971.55
김효준사이버외대3400006.752134331.25
하준수NC1212⅔01107.11154101214101.97
김진욱롯데41603007.31192111014131.88
이승관한화101110007.369375991.45
이근혁한일장신대4610007.504227551.00
양경모한화65⅔00017.948454552.29
한선태무소속76⅔00018.1013025662.25
하재훈SSG1100009.001102111.00
이가미오스터하우트33⅔00009.823141441.91
유지성KIA915⅓011010.57284101023182.48
이태규KIA918⅔130011.09203222324232.25
박윤철한화415⅔020011.49225131620202.23
정윤환성남1000013.502101113.00
이수민무소속36010015.001234211102.67
최정욱동원대45000018.001044310102.8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4:31:36에 나무위키 질롱 코리아/2022-23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0-21 시즌과 2021-22 시즌은 코로나19로 인해 불참.[2] 질롱 코리아가 속한 사우스웨스트 디비전 기준, 전체 8팀 중 7위[3] 1~6라운드 투수 김재영, 이승관, 정이황, 포수 박상언, 내야수 박정현, 외야수 장진혁, 이원석, 유상빈[4] 7~10라운드 투수 박윤철, 오세훈, 양경모, 포수 허관회, 내야수 김태연, 외야수 이진영, 권광민[5] 합류 직후에는 임시로 이가미 치카라가 첫 등판에서 입었던 이름 없는 91번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6] 前 KIA 타이거즈.[7] 2022 시즌까지 삼성 라이온즈 소속.[8] 첫 등판에서 달았던 91번에서 20번으로 변경했다.[9] 합류 직후에는 임시로 정윤환의 11번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10] 합류 직후에는 임시로 김석환의 35번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11] 2022 시즌까지 LG 트윈스 소속.[12] 합류 직후에는 임시로 이수민의 17번 유니폼을 입고 뛰었다.[13] 2022 시즌까지 삼성 라이온즈 소속.[14] 정규시즌 마지막 주차에 합류해서 그런지 등번호 없이 시즌을 마쳤다.[15] 전 질롱 단장이었던 박충식이 감독으로 있는 학교다.[16] 그 과정에서 김승현이 무슨 이유에서인지 엔트리에 내야수로 등록되었다. 경기는 정상적으로 투수로 나왔다.[A] A B C D 12월 19일 ~ 12월 28일[17] 2023년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에 편입.[18] 질롱 코리아 1기 멤버였던 유용목이 감독으로 있는 학교다.[19] 첫 훈련 당시 53번이 달린 트레이닝킷을 입고 훈련을 받았는데, 김도영이 입을 예정이었으나 합류가 불발되어 주인이 없게 된 것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20] 48번을 달다가 변경했다.